[스페셜리포트] AIㆍ혈액ㆍ콧물로 치매 예측…진화하는 조기 진단 기술 [2019-09-30]

29일 의료계에 따르면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조기진단이 가능할수록 발병을 늦추거나 완화할 수 있다.
현재 진단은 ‘아밀로이드 PET’이라는 고가의 영상장비를 사용하거나 요추천자를 통한 뇌척수액 검사, 뇌 변화를 관찰하는 MRI(자기공명영상) 촬영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단 모두 비용이 높고, 접근성이 제한되며 부작용이 우려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새롭게 출시되는 신기술로 무장한 조기 진단의료기기들이 희망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치매 유발 유전변이가 동아시아인에게 높은 빈도로 존재해 서양인보다 동아시아인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취약하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짐에 따라 조기 진단의 중요성이 한층 더 커지고 있다.
에이아이플랫폼도 부산대병원과 공동으로 AI기술을 활용해 ‘치매 조기진단 영상분석시스템’개발에 착수했다.
이 시스템은 망막 촬영영상 정보를 분석해 치매 단계를 진단한다.
먼저 뇌와 연결된 안구 망막을 정밀 촬영하고, 이 영상 정보를 분석해 치매 유발 물질 베타아밀로이드가 뇌 속에 얼마나 쌓여 있고(농도), 퍼져 있는지(분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파악한 정보와 기존 치매 환자 정보를 AI로 비교 분석하면 초기 경도인지장애에서 중증 치매 단계까지 분류, 진단할 수 있게 된다.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